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코드업 1007 : [기초-출력] 출력하기07 #include int main() { printf("\"C:\\Download\\hello.cpp\""); return 0; } 백슬래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백슬래시를 두 번 쓰면 된다. printf("\\"); 2023. 5. 30.
코드업 1006 : [기초-출력] 출력하기06 #include int main() { printf("\"!@#$%^&*()\""); return 0; } 큰 따음표를 출력하는 방법은 코드업 예제 5번에서 알 수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이다. %기호가 앞에 붙는 문자를 형식 지정자라고 하며, 형식 지정자의 위치에 지정한 형식에 맞는 값을 출력한다. 그러나 컴파일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d나 %f와 같이 존재하는 형식지정자가 아닌 %^ 같은 문자의 경우 %^ 로 출력하는 경우도 있지만, %를 형식 지정자의 일부로 인식해 %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로 바꾸어 출력하면 된다. #include int main() { printf("\"!@#$%%^&*()\""); return 0; } 2023. 5. 30.
코드업 1005 : [기초-출력] 출력하기05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printf("hello") 함수는 큰 따옴표안의 hello를 출력하게 된다. 큰 따옴표를 기준으로 값을 출력하기에 문자열의 큰따옴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특정 서식을 활용해야한다. printf("\"") \" 를 활용하여 큰 따옴표를 출력할 수 있다. 2023. 5. 30.
코드업 1004 : [기초-출력] 출력하기04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return 0; } 작은 따음표는 \없이 쓰면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쓰이게 된다. 따라서 ' 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 를 활용해야 한다. 2023. 5. 30.
코드업 1003 : [기초-출력] 출력하기03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nWorld"); return 0; } 개행(줄바꿈)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n 을 활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2023. 5. 30.
코드업 1002 : [기초-출력] 출력하기02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위 코드에서 printf() 함수를 활용하여 Hello World를 출력할 수 있다. #include 는 printf() 함수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헤더 파일이다. int main() 함수는 컴파일러가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호출하는 함수이다. 2023. 5. 30.
코드업 1001 : [기초-출력] 출력하기01 #include int main() { printf("Hello"); return 0; } 위 코드에서 printf() 함수를 활용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할 수 있다. #include 는 printf() 함수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헤더 파일이다. int main() 함수는 컴파일러가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호출하는 함수이다. 2023. 5. 30.
C언어로 Midi 입력을 받는 코드 만들기 (Midi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Midi 공식문서인 https://www.midi.org/specifications를 참고) 코드를 짜기 전에 특정 라이브러리를 링크해야 한다. 1.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를 연다. 2. 솔루션 탐색기(단축키: Ctrl + Alt + L)을 눌러 프로젝트에 우클릭 후 속성을 선택한다. 3. 구성 속성에 들어가 링커를 선택하고 입력을 선택한다. 4. 추가 중속성 상자에 ‘winmm.lib’를 입력한다.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 #include #include // MIDI 입력 콜백 함수 void CALLBACK MidiInputCallback(HMIDIIN hMidiIn, UINT wMsg, DWORD_PTR dwInstance, .. 2023. 5. 24.
C언어에서 이진 파일에 여러 값을 저장하고 이를 다시 출력하기 C언어에서 이진 파일에 여러 값을 저장하고 이를 다시 출력해보자 이진 파일에 int 배열, float 배열 그리고 구조체 배열의 값을 저장할 것이다. 이때 이진 파일의 가장 윗줄에 int 배열의 개수, float 배열의 개수 그리고 구조체 배열의 크기를 저장할 것이다. 그리고 int 배열의 값, float 배열의 값 그리고 구조체 배열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할 것이다. 이후 파일의 맨 윗줄의 배열들의 개수를 읽어, int 배열, float 배열 그리고 구조체 배열의 메모리를 할당하고 값을 저장해 출력할 것이다.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intarrlen 5 //int 배열의 크기 #define floatarrle.. 2023. 5. 23.
728x90